국어는 영어와 연결되어 있기에 같이 묶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임용고시 공부뿐만 아니라 공무원 시험, 수능 공부에도 이 부분이 굉장히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기에 필요하신 분들 많이 보시고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건 개요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차차 포스팅해서 올리려 합니다.
1. 음운(phoneme):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발음상 가장 작은 단위.
1) 음소(phoneme, segemental phoneme, 분절음운): 자음(consonant), 모음(vowel)
~ 최소대립쌍(minimal pair):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
cf 1. phoneme은 음운으로도, 음소로도 번역되는데, 저는 음소로 인식하는 게 더 낫더라구요.
cf 2. 자소(grapheme): 음소를 표시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의 문자. 같은 음소여도 자소가 다를 수 있어요.
2) 운소(prosodeme, supra segemental phoneme, 비분절음운): 소리의 길이
~ chant: 음율적 특징(prosodic feature) 덕분에 기억 용이. melody는 없고, rhythm만 있음
2. 음절(syllable): 발음의 기본단위.
1) 영어는 강세박자언어(stress-timed language)이지만, 국어는 음절박자언어(syllable-timed language)
2) 초성(onset) + 각운(rhyme)
cf. rhyme = nucleus(음절의 핵=꼭 있어야 하는 것, 주로 모음) + coda(종성)
3) 우리나라는 모음의 경우, 자음이 없어도 발음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음절로 취급합니다.
3. 형태소(morpheme): 의미(문법적 기능까지 포함)를 갖는 가장 작은 단위.
1) 의미에 따라: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2) 자립 여부에 따라: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
4. 단어(word)
1) 형태소 개수: 단일어, 복합어
2) 형태, 기능, 의미: 품사
3) 의미 관계: 유의, 반의(등급, 상보, 방향), 상하
4) 의미 연관성: 다의어, 동형어(동음이의어)
5. 어절: 띄어쓰기 단위와 일치하는 문법적 단위. 영어에서는 단어마다 띄어쓰기하므로 그냥 word.
6. 어구(phrases):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단어와 같은 역할을 함. '주어-서술어' 구조가 아님
7. 어절(clause): '주어-서술어'로 이루어진 문법 단위. 종결어미 無
8. 문장(sentence):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 종결어미 有
1) 문장 성분
2) 문장 짜임
3) 높임 표현
4) 사동, 피동 표현
9. 글(text)
이 내용을 블로그에 포스팅할까 말까 고민하다가... 혹시나 저처럼 연역적 공부방법을 추구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올려드립니다. 그리고 추후에 제가 다시 한 번 활용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일단은 블로그에 저장해 두는 용도로 포스팅하였습니다.
'교육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의 변동 - 임용 공부할 때 암기했던.. (0) | 2024.11.19 |
---|---|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 中 음소(분절음운): 자음, 모음 (0) | 2024.11.17 |
[교육철학] 고전 교육론 (1) 도덕 교육: 소크라테스, 플라톤 - 윤리학적 관점 - (1) | 2024.06.02 |
[교육론] 영어 교육론 (2) 언어 습득 이론: 제 2 언어 습득 이론 (1) | 2023.10.09 |
[교육론] 영어 교육론 (1) 언어 습득 이론: 제 1 언어 습득 이론 (0) | 2023.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