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육론/문법] 문장: 성분, 짜임, 높임 표현, 사동과 피동, 관용표현, 호응
1. 문장 성분 1) 주성분: 주어, 목적어, 서술어, 보어(되다/아니다 앞에 쓰이는 이/가 붙은 말) * 서술어의 자릿수 2)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어 (보다 넓은 범위. '누구에게'가 필요한 경우 부사어가 필수) * 관형사와 부사는 깐깐히.. 3) 독립성분: 독립어2. 문장 짜임: 홑문장, 겹문장(안은, 안긴 문장) * 서술절: 주어 + 주어 + 서술어 구조일 때, 뒤의 '주어 + 서술어'가 서술절이나, 서술어가 이다/되다 일 때 보어를 지닌 홑문장일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할 것! 3. 높임 표현 1) 주체 높임법: 선어말 어미 '시', 주격 조사 '께서', * 간접높임: 주체의 신체, 소유물, 생각을 높이는 것 2) 객체 높임법: 부사격조사 '께' ..
2024. 11. 21.
[국어 교육론/문법] 형태소와 단어: 단일어와 복합어, 품사, 용언의 활용
형태소는 의미에 따라, 자립 가능 여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우리 오빠는 키가 크다"라는 예시를 활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형태소의 자립 가능 여부에 따른 구분: 자립형태소, 의존 형태소 1) 자립형태소: ex. 우리, 오빠, 키 2) 의존형태소: ex. -는, -가, 크-, -다 2. 형태소의 의미에 따른 구분: 이를 통해 우리는 어근과 접사라는 개념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실질 형태소(어근): 자립형태소 전부 포함 / ex. 우리, 오빠, 키, 크- * 어근: 단어의 중심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 2) 형식 형태소(접사, 조사, 어미): -는, -가, -다 * 접사: 단어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거나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부분 단어는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눌 수 있습니..
2024. 11. 20.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의 변동 - 임용 공부할 때 암기했던..
임용고시 준비할 때 암기했던 내용으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임용고시 말고도 공무원, 수능 문법 공부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이거 공부할 때 수능 문법 요약본으로 공부를 했었기 때문이죠.. 임용 준비할 때 쓴 자료라 제가 생각했을 때 시험에 안 나올 것 같은 것은 생략해 정리했습니다. 감안해서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음운의 변동에는 대체, 첨가, 축약, 탈락으로 총 4가지가 있음 1. 대체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각 음절의 끝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가지 중에 하나로 발음이 됨 2) 구개음화: ㄷ, ㅌ 가 뒤 음절의 ㅣ(반모음 포함)와 만날 경우 ㅈ, ㅊ 로 대체됨 3) 유음화: ㄴ + ㄹ 또는 ㄹ + ㄴ 일 경우에는 ㄹ + ㄹ 로 발음됨 ex. [..
2024.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