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블완13

오늘의 나는 [학습지도] 3학년 2학기 분수 지도 정리 - 전체에 대한 분수 구하기, 가분수 ⇔ 대분수 / 수학을 사랑하게 된 우리반 사실 우리반뿐만 아니라 전국의 70% 학교들은 확실히 수학에 대한 편차가 클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이제 '분수' 수행평가를 치르기 전에 아이들에게 마무리 정리를 확실히 해 주고 싶었어요. 잘 하는 애들은 걱정이 없는데 어려워하는 애들 때문에 말이죠.    총정리는 무조건 간단하게 해야한다고 생각해서 대부분의 아이들이 어려워했던 가분수와 대분수 변환을 중점으로 지도하고자 했습니다. 사실 예전에 3학년 아이들 지도할 때는 아이들이 분수 이해를 잘 했기 때문에 여러 방면으로 지도 방법을 고민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년도에 만난 아이들의 경우, 수학을 어려워하고 또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도 있다보니깐 어떻게 지도를 잘 해낼까 고민하다보니 이번에는 가분수, 대분수 변환을 초콜릿으로 지도하고자 하였어요... 2024. 11. 27.
오늘의 나는 [교육/생각] 모든 공부의 바탕, 문해력 - 습관의 무서움,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독서가 꼭 필요한 이유(feat. 수학 문제 풀이) 요즘 제가 분수에 관해서 포스팅을 많이 올렸습니다. 사실 분수 관련해서 포스팅 하나 더 올려야 하는데 분수 관련 포스팅을 쓰려면 적어도 2~3시간은 필요하기 때문에 일단은 제쳐두고 오늘은 다시 한 번 문해력에 대해서 써 볼까 해요.    사실 이전에 이 블로그에 문해력에 관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오늘 다시 한 번 문해력에 관해 글을 쓰는 이유는 더더욱 문해력의 필요성을 절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요즘 우리반 아이들의 독서 습관이 잡히기도 해서 기분이 좋아서 글 써 봅니다. 2023.02.03 - [교육 생각] - [교육/생각] 초등학교 시기에는 무엇을 공부하면 좋을까? [교육/생각] 초등학교 시기에는 무엇을 공부하면 좋을까?초등학교 5학년이 공부에 있어서 판가름이 나는 중요한 시기라는 언급이 많습니다.. 2024. 11. 25.
오늘의 나는 [음악] 국악 정리본 - 초등 임용 국악곡 연역적 톺아보기 임용 공부할 때 저 혼자 정리해둔 것인데 블로그에 올려봅니다. 아래 분류는 저같이 "연역적 공부법"이 잘 맞는 학습자들이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국악곡이 너무 산재되어 있어서 그걸 정리하고 싶었기에 아래와 정리를 한 것이거든요.  처음에 블로그에 '임시저장'글로 두었다가 포스팅을 하니깐 모바일에서 글씨가 너무 깨지더라구요. 그래서 한글에 캡처 사진본과 함께 다시 올렸습니다. 혹시 아래 포스팅 보시고 따로 파일 원하시는 분들은 공감과 함께 댓글 달아주시면 보내드릴게요!  사실 요즘 임용 자료가 너무 잘 되어 있어서 필요할까 싶다가도 호옥~시나 하는 마음에 올리는 거니깐요.   그리고 아래 포스팅에서 유의해서 보실 부분은 '더러러러'를 타이핑으로 표현하기가 곤란해서 그냥 ":"로 표현해 두었습니다.. 2024. 11. 24.
오늘의 나는 [국어 교육론/문법] 문장: 성분, 짜임, 높임 표현, 사동과 피동, 관용표현, 호응 1. 문장 성분  1) 주성분: 주어, 목적어, 서술어, 보어(되다/아니다 앞에 쓰이는 이/가 붙은 말)    * 서술어의 자릿수    2)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어 (보다 넓은 범위. '누구에게'가 필요한 경우 부사어가 필수)    * 관형사와 부사는 깐깐히..  3) 독립성분: 독립어2. 문장 짜임: 홑문장, 겹문장(안은, 안긴 문장)     * 서술절: 주어 + 주어 + 서술어 구조일 때, 뒤의 '주어 + 서술어'가 서술절이나,    서술어가 이다/되다 일 때 보어를 지닌 홑문장일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할 것! 3. 높임 표현   1) 주체 높임법: 선어말 어미 '시', 주격 조사 '께서',     * 간접높임: 주체의 신체, 소유물, 생각을 높이는 것    2) 객체 높임법: 부사격조사 '께' .. 2024. 11. 21.
오늘의 나는 [국어 교육론/문법] 형태소와 단어: 단일어와 복합어, 품사, 용언의 활용 형태소는 의미에 따라, 자립 가능 여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우리 오빠는 키가 크다"라는 예시를 활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형태소의 자립 가능 여부에 따른 구분: 자립형태소, 의존 형태소  1) 자립형태소: ex. 우리, 오빠, 키  2) 의존형태소: ex. -는, -가, 크-, -다 2. 형태소의 의미에 따른 구분: 이를 통해 우리는 어근과 접사라는 개념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실질 형태소(어근): 자립형태소 전부 포함 / ex. 우리, 오빠, 키, 크-    * 어근: 단어의 중심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  2) 형식 형태소(접사, 조사, 어미): -는, -가, -다    * 접사: 단어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거나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부분  단어는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눌 수 있습니.. 2024. 11. 20.
오늘의 나는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의 변동 - 임용 공부할 때 암기했던.. 임용고시 준비할 때 암기했던 내용으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임용고시 말고도 공무원, 수능 문법 공부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이거 공부할 때 수능 문법 요약본으로 공부를 했었기 때문이죠.. 임용 준비할 때 쓴 자료라 제가 생각했을 때 시험에 안 나올 것 같은 것은 생략해 정리했습니다. 감안해서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음운의 변동에는 대체, 첨가, 축약, 탈락으로 총 4가지가 있음 1. 대체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각 음절의 끝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가지 중에 하나로 발음이 됨   2) 구개음화: ㄷ, ㅌ 가 뒤 음절의 ㅣ(반모음 포함)와 만날 경우  ㅈ, ㅊ 로 대체됨   3) 유음화: ㄴ + ㄹ 또는 ㄹ + ㄴ 일 경우에는 ㄹ + ㄹ 로 발음됨 ex. [.. 2024.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