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 임용6

오늘의 나는 [음악] 국악 정리본 - 초등 임용 국악곡 연역적 톺아보기 임용 공부할 때 저 혼자 정리해둔 것인데 블로그에 올려봅니다. 아래 분류는 저같이 "연역적 공부법"이 잘 맞는 학습자들이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국악곡이 너무 산재되어 있어서 그걸 정리하고 싶었기에 아래와 정리를 한 것이거든요.  처음에 블로그에 '임시저장'글로 두었다가 포스팅을 하니깐 모바일에서 글씨가 너무 깨지더라구요. 그래서 한글에 캡처 사진본과 함께 다시 올렸습니다. 혹시 아래 포스팅 보시고 따로 파일 원하시는 분들은 공감과 함께 댓글 달아주시면 보내드릴게요!  사실 요즘 임용 자료가 너무 잘 되어 있어서 필요할까 싶다가도 호옥~시나 하는 마음에 올리는 거니깐요.   그리고 아래 포스팅에서 유의해서 보실 부분은 '더러러러'를 타이핑으로 표현하기가 곤란해서 그냥 ":"로 표현해 두었습니다.. 2024. 11. 24.
오늘의 나는 [국어 교육론/문법] 문장: 성분, 짜임, 높임 표현, 사동과 피동, 관용표현, 호응 1. 문장 성분  1) 주성분: 주어, 목적어, 서술어, 보어(되다/아니다 앞에 쓰이는 이/가 붙은 말)    * 서술어의 자릿수    2)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어 (보다 넓은 범위. '누구에게'가 필요한 경우 부사어가 필수)    * 관형사와 부사는 깐깐히..  3) 독립성분: 독립어2. 문장 짜임: 홑문장, 겹문장(안은, 안긴 문장)     * 서술절: 주어 + 주어 + 서술어 구조일 때, 뒤의 '주어 + 서술어'가 서술절이나,    서술어가 이다/되다 일 때 보어를 지닌 홑문장일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할 것! 3. 높임 표현   1) 주체 높임법: 선어말 어미 '시', 주격 조사 '께서',     * 간접높임: 주체의 신체, 소유물, 생각을 높이는 것    2) 객체 높임법: 부사격조사 '께' .. 2024. 11. 21.
오늘의 나는 [국어 교육론/문법] 형태소와 단어: 단일어와 복합어, 품사, 용언의 활용 형태소는 의미에 따라, 자립 가능 여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우리 오빠는 키가 크다"라는 예시를 활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형태소의 자립 가능 여부에 따른 구분: 자립형태소, 의존 형태소  1) 자립형태소: ex. 우리, 오빠, 키  2) 의존형태소: ex. -는, -가, 크-, -다 2. 형태소의 의미에 따른 구분: 이를 통해 우리는 어근과 접사라는 개념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실질 형태소(어근): 자립형태소 전부 포함 / ex. 우리, 오빠, 키, 크-    * 어근: 단어의 중심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  2) 형식 형태소(접사, 조사, 어미): -는, -가, -다    * 접사: 단어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거나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부분  단어는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눌 수 있습니.. 2024. 11. 20.
오늘의 나는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의 변동 - 임용 공부할 때 암기했던.. 임용고시 준비할 때 암기했던 내용으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임용고시 말고도 공무원, 수능 문법 공부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이거 공부할 때 수능 문법 요약본으로 공부를 했었기 때문이죠.. 임용 준비할 때 쓴 자료라 제가 생각했을 때 시험에 안 나올 것 같은 것은 생략해 정리했습니다. 감안해서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음운의 변동에는 대체, 첨가, 축약, 탈락으로 총 4가지가 있음 1. 대체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각 음절의 끝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가지 중에 하나로 발음이 됨   2) 구개음화: ㄷ, ㅌ 가 뒤 음절의 ㅣ(반모음 포함)와 만날 경우  ㅈ, ㅊ 로 대체됨   3) 유음화: ㄴ + ㄹ 또는 ㄹ + ㄴ 일 경우에는 ㄹ + ㄹ 로 발음됨 ex. [.. 2024. 11. 19.
오늘의 나는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 中 음소(분절음운): 자음, 모음 1. 자음: 발음 기관을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  조음방법조음 위치 소리 세기입술잇몸센입천장여린입천장목구멍안울림파열음예사소리ㅂㄷ ㄱ 된소리ㅃㄸ ㄲ 거센소리ㅍㅌ ㅋ 마찰음예사소리 ㅅ  ㅎ된소리 ㅆ  파찰음예사소리  ㅈ  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  울림유음ㅁㄴ ㅇ 비음 ㄹ     cf) 보통은 읽지만, 기역, 디귿, 시옷은 예외이다.     2. 모음: 하늘( ` ), 땅(ㅡ), 사람(ㅣ)를 기본자로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 이를 바탕으로 초출자(기본자들을 한 번 결합), 재출자(기본자들을 두 번 결합) . 모음은 모두 울림 소리이며, 자음이 없어도 음절 하나로 취급한다.     1) 기본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2) 단모음: 입술의 모양과 발음이 바뀌지 않는 모음을 .. 2024. 11. 17.
오늘의 나는 [국어/영어 교육론] 문법 - 언어의 단위 국어는 영어와 연결되어 있기에 같이 묶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임용고시 공부뿐만 아니라 공무원 시험, 수능 공부에도 이 부분이 굉장히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기에 필요하신 분들 많이 보시고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건 개요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차차 포스팅해서 올리려 합니다. 1. 음운(phoneme):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발음상 가장 작은 단위.   1) 음소(phoneme, segemental phoneme, 분절음운): 자음(consonant), 모음(vowel)    ~ 최소대립쌍(minimal pair):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    cf 1. phoneme은 음운으로도, 음소로도 번역되는데, 저는 음소로 인식하는 게 더 낫더라구요.     cf 2. 자소(g.. 2024.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