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공부

[교육론] 영어 교육론 (2) 언어 습득 이론: 제 2 언어 습득 이론

by 효주나무 2023. 10. 9.
반응형
제 2 언어 습득 이론
제 2 언어 습득 이론

  지난 포스팅에서 제 1언어 습득 이론에 대해서 작성을 했는데요. 오늘은 제 2언어 습득 이론에 대해서 마저 해 보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제가 공부한 내용 바를 정리하는 용도입니다. 제 2 언어 습득 이론은 Contrasive analysis hypothesis(대조 분석 가설), Input hypothesis(입력 가설), Ouputput hypothesis(출력 가설), Interaction hypothesis(상호작용 가설)이 있습니다. 
 
  대조 분석 가설은 모국어와의 비교를 통해서 제 2 언어를 습득하는 것입니다. 이때, 모국어와의 혼돈 없이 습득허는 positive transfer(긍정적 전이)와 모국어와의 차이점 때문에 Interference(간섭)을 받는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가 있습니다. 
 
  입력 가설은 Krashen의 가설로 총 5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Acquisition-learning hypothesis입니다. 습득은 implicit, meaning, function, subconscious, fluency 위주로 습득이 되지만, 학습은 explicit, form, structure, conscious, accuracy 위주로 학습이 된다는 것입니다. 둘째, natural order hypothesis입니다. 언어의 내용요소들은 순차적으로 학습이 된다는 것입니다. 셋째, input hypothesis입니다. 아동기의 silent period(침묵기)를 인정하고 comprehensible input(이해가능한 입력,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입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면 언어 습득이 된다는 것입니다. 넷째, monitor hopothesis입니다. 학생들이 '습득'한 내용은 의사소통을 위한 발화에 사용되고,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점검한다는 것입니다. 다섯째, affective filter hypothesis입니다. 학생들의 정의적 여과막을 낮추어 conficence, motivation를 높이고, anxiety를 낮추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어서 출력 가설은 Swain의 가설로, 입력뿐만 아니라 출력도 중요하다는 가설입니다. 따라서 Pushed output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출력은 noticing(인지적), hypothesis-testing(가설 검증), metalinguistic function(상위언어)을 수행하게 합니다. 또한, semantic processing(의미)뿐만 아니라 syntactic processing(형태) 모두를 고려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때 강요된 출력은 반드시 정확하게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으로, 상호작용 가설은 Long의 가설로, 의미협상을 통해 언어 습득을 한다는 가설입니다. 이러한 의미협상은 청자 입장에서의 clarification request(명료화 요구), confirmation check(확인 점검), 화자 입장에서의 comprehension check(이해 점검)이 있습니다. 그 외에 paraphrase, repetition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의미협상을 통해 modified input & feedback, (modified) output 과정이 이루어지며 언어를 습득하게 됩니다. 
 
  여기서 참고로, Input과 feedback 관련하여 evidence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evidence에는 학습자가 이해 가능한 입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positive evidence와 올바른 것에 대한 직간접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negative evidence가 있는데요. 오류 수정에 대한 피드백은 모두 negative evidence에 해당하지만, Recast를 제공시 학생이 이를 인지하여 수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positive evidence로 적용이 된다는 점이 특이사항이네요. 
 
  그 외에 연습이 언어 습득의 핵심 요소라고 보는 skill acquisition theory도 있는데요. "무엇"에 대해 아는 것을 declarative knowledge(선언적 지식),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을 procedural knowledge(절차적 지식)이라고 하면, 연습을 통해 선언적 지식이 절차적 지식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언어 습득 이론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마치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