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학자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더불어 이 세 학자들은 사실 고전 교육론에서 가장 많이 언급이 됩니다만, 초등 임용에서는 ‘도덕교육론’에서 더 친숙하게 접하는 학자들이라 일부러 ‘도덕 교육론’이라고 이름을 붙여 보았습니다. 사실 제가 임용 공부를 할 때 그렇게 깊이 공부하진 않았던 학자들이지만 요즘 교육론 책을 다시 읽으면서 임용 공부와 같이 정리해 보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어요. 제가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쓰는 글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제가 임용 공부를 할 때도 이 세 학자들을 늘 제 머릿 속에 함께 묶여서 구조화되었던 학자들이라 일부러 세 학자들을 묶어서 쓰고 싶었으나... 글이 길어질 것 같아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 편에 쓰고자 합니다.
먼저 소크라테스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산파법=문답법'으로 유명합니다. 기존 생각이나 원칙에 대해 질문을 계속하면서 정말 그 기존의 생각이나 원칙이 맞는 것인지 지속적으로 '반성'하게 하는 것이지요. 산파법을 통해 반성을 계속하면서 사람들이 지혜를 얻고 그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지행합일설) 이는 올바른 행동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무지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므로 사람들의 실수를 용인해주어야 한다는 관점과 맞닿아 있습니다. 간단하죠?
그런데 플라톤은 조금 설명할 게 많습니다. 사실 저는 임용 공부할 때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을 묶어서 외웠던 기억이 나는데요. 이번에 공부하면서 내가 너무 겉햝기식으로 대충 공부했구나싶더라구요. 지금부터 차차 설명드릴게요. 플라톤은 크게 '이원론적 세계관'과 '4주덕과 국가론'으로 나눠서 설명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플라톤은 '이원론적 세계관'을 주장했습니다. 플라톤하면 떠오르는 그 유명한 '동굴 이야기' 가 있죠. 동굴 속에서 갇혀 있는 사람은 자신의 감각과 경험에 비추어 '동굴 안의 그림자'를 실제 사물이라고 믿고 삽니다. 그러다가 동굴 밖을 나오게 되면서 자신의 이성을 바탕으로 실제 사물를 알게 되죠. 이 때, 동굴안을 '현상계', 동굴밖을 '이데아'라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동굴 밖의 실체를 명확하게 확인시켜주는 존재가 있지요. 바로 태양입니다. 그래서 플라톤은 해를 선의 이데아로 보았고, 이는 인간의 이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즉 '현상'이 아닌 '실제'를 아는 것을 인간의 이상(선의 이데아)이라고 보았죠. 그리고 이러한 선의 이데아를 추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에로스'라고 생각한 그는 이러한 마음을 가질지 안 가질지는 인간에게 달려있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이어서 플라톤의 4주덕에 대해서 알아야겠죠.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을 이성, 기개, 욕망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인간은 지혜(~이성), 용기(~기개), 절제(~욕망)이라는 덕을 익힐 필요가 있다고 보았고, 이러한 세 덕이 모두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정의라는 덕까지 얻은 것이라고 보았답니다.
자, 이 4주덕을 국가의 계층과 연결시켜볼게요. 여기서 절제라는 덕목을 습득한 사람을 '생산자', 여기에 용기까지 덕목을 습득한 사람을 '방위자', 지혜라는 덕목까지 습득한 사람을 '통치자'와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플라톤은 인간이 지배할 수 있는 영혼이 오로지 '이성'이라는 부분이라고 보았기에 절제, 용기뿐만 아니라 지혜까지 얻은 사람이 선의 이데아를 실현하는 사람이므로 이러한 사람이 국가를 다스려야 한다는 '철인통치'를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한편으로 통치자와 방위자를 묶어서 수호계급이라고 보기도 했고요. 이렇게 국가에서 각 덕목을 습득한 사람들(통치자, 방위자, 생산자)이 각자의 덕을 잘 실현하며 조화를 이루게 될 때, 정의로운 국가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걸 그림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교육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 中 음소(분절음운): 자음, 모음 (0) | 2024.11.17 |
---|---|
[국어/영어 교육론] 문법 - 언어의 단위 (0) | 2024.11.16 |
[교육론] 영어 교육론 (2) 언어 습득 이론: 제 2 언어 습득 이론 (1) | 2023.10.09 |
[교육론] 영어 교육론 (1) 언어 습득 이론: 제 1 언어 습득 이론 (0) | 2023.10.09 |
[교육심리] '연령별 발달' 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2) 창의성 - 1 - (0) | 2023.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