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공부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의 변동 - 임용 공부할 때 암기했던..

by 효주나무 2024. 11. 19.
반응형

음운의 변동

  임용고시 준비할 때 암기했던 내용으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임용고시 말고도 공무원, 수능 문법 공부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이거 공부할 때 수능 문법 요약본으로 공부를 했었기 때문이죠.. 임용 준비할 때 쓴 자료라 제가 생각했을 때 시험에 안 나올 것 같은 것은 생략해 정리했습니다. 감안해서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음운의 변동에는 대체, 첨가, 축약, 탈락으로 총 4가지가 있음 

1. 대체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각 음절의 끝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가지 중에 하나로 발음이 됨 

  2) 구개음화: ㄷ, ㅌ 가 뒤 음절의 ㅣ(반모음 포함)와 만날 경우  ㅈ, ㅊ 로 대체됨 

  3) 유음화: ㄴ + ㄹ 또는 ㄹ + ㄴ 일 경우에는 ㄹ + ㄹ 로 발음됨 ex. [물랄리]  

  4) 비음화: ㅂ ㄷ ㄱ 가 뒤 음절의 ㄴ ㅁ 와 만날 경우 각각 ㅁ ㄴ ㅇ 로 대체됨.

      2음절 한자어와 1음절 한자어의 합성어는 ㄴ + ㄹ 또는 ㄹ + ㄴ가 ㄴ + ㄴ 로 발음되기도 함. ex. [등산노]  

      ㄹ 아닌 자음 뒤 ㄹ 이 ㄴ 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음 ex. 종로 >> [종노], 압력 >> [암녁] 

  5) 된소리되기

      *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ㄴ ㅁ + ㄷ ㅅ ㄱ ㅈ 

      * 한자어 ㄹ + ㄷ ㅅ ㅈ  

      * 관형사의 전성어미 ㄹ + ㄱ ㄷ ㅂ ㅅ ㅈ ex. 먹을 것 >> [머글 껃]

  6) 전설모음화( ㅣ 역행동화) : 입술모양은 그대로이지만, 혀 위치만 바뀜.

      ex. 멋장이 >> [멋쟁이],  남비 >> [냄비]

  7) 반모음화: 숨기어 >> [숨겨]       

2. 첨가

  1) ㄴ 첨가: 자음 + 실질 형태소 ㅣ(반모음 포함)  ex. [솜니불] , [생연필], [물냑]     

  2) 반모음 첨가: 모음 충돌을 피하기 위해 반모음을 첨가하여 결과적으로 이중모음 만듦 

     ex. 되어 >> [되여], 피어 >> [피여]

  3) 사이시옷 현상: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합성어(한자어끼리, 외래어 포함 제외)일 때,

    * 뒷말이 이유없이 된소리가 나는 경우 ex. [쇠쪼각]

    * 뒷말 ㄴ, ㅁ 앞에서 ㄴ이 첨가되는 경우 ex. [인몸]

    * 뒷말 모음 앞에서 ㄴㄴ 이 첨가되는 경우 ex. [나문닢]    

3. 축약

  1) 자음 축약: ㅂ ㄷ ㄱ ㅈ + ㅎ = ㅍ ㅌ ㅋ ㅊ  

  2) 모음 축약: 반모음화(대체)로 설명되지 않는 것들을 모음축약이라고 함 ex. 누이+어 >> [뉘어]

4. 탈락 

  1) 자음군 단순화: 겹받침은 받침 하나만 

      cf 1) ㄺ 은 ㄱ 으로 발음이 되지만 ㄺ 과 ㄱ이 만나면 ㄹ로 발음 ex. 맑고 >> [말꼬] 

      cf 2) ㄼ은 ㄹ로 발음되지만 예외 有. 넓둥글다 >> [넙뚱글다], 밟다 >> [밥따] 

  2) 모음 탈락: ㅡ, ㅏ/ㅓ 

  3) 자음 탈락: ㄹ, ㅎ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