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자음: 발음 기관을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
조음방법 | 조음 위치 | ||||||
소리 세기 | 입술 | 잇몸 | 센입천장 | 여린입천장 | 목구멍 | ||
안울림 | 파열음 | 예사소리 | ㅂ | ㄷ | ㄱ | ||
된소리 | ㅃ | ㄸ | ㄲ | ||||
거센소리 | ㅍ | ㅌ | ㅋ | ||||
마찰음 | 예사소리 | ㅅ | ㅎ | ||||
된소리 | ㅆ | ||||||
파찰음 | 예사소리 | ㅈ | |||||
된소리 | ㅉ | ||||||
거센소리 | ㅊ | ||||||
울림 | 유음 | ㅁ | ㄴ | ㅇ | |||
비음 | ㄹ |
cf) 보통은 읽지만, 기역, 디귿, 시옷은 예외이다.
2. 모음: 하늘( ` ), 땅(ㅡ), 사람(ㅣ)를 기본자로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 이를 바탕으로 초출자(기본자들을 한 번 결합), 재출자(기본자들을 두 번 결합) . 모음은 모두 울림 소리이며, 자음이 없어도 음절 하나로 취급한다.
1) 기본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2) 단모음: 입술의 모양과 발음이 바뀌지 않는 모음을 말함
단모음 | 혀 위치 | 전설 | 후설 | ||
입술 모양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
혀 높이 | 고모음 | ㅣ | ㅟ | ㅡ | ㅜ |
중모음 | ㅔ | ㅚ | ㅓ | ㅗ | |
저모음 | ㅐ | ㅏ |
3) 이중모음: 입술의 모양과 발음이 바뀌는 모음을 말하며, 단모음 + 반모음의 결합으로 구성됨. 따라서 이중모음은 1음절이지만, 음운의 개수는 2개라고 할 수 있음. 반모음의 경우에는 음절을 이룰 수 없지만, 하나의 음운으로 인정됨. 상향은 반모음이 앞에서, 하향은 뒤에서 발음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모음 | 상향 | 하향 |
y계 | ㅑ, ㅕ, ㅛ, ㅠ, ㅒ, ㅖ | ㅢ |
w계 | ㅘ, ㅝ, ㅙ, ㅞ |
'교육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교육론/문법] 형태소와 단어: 단일어와 복합어, 품사, 용언의 활용 (0) | 2024.11.20 |
---|---|
[국어 교육론/문법] 음운의 변동 - 임용 공부할 때 암기했던.. (0) | 2024.11.19 |
[국어/영어 교육론] 문법 - 언어의 단위 (0) | 2024.11.16 |
[교육철학] 고전 교육론 (1) 도덕 교육: 소크라테스, 플라톤 - 윤리학적 관점 - (1) | 2024.06.02 |
[교육론] 영어 교육론 (2) 언어 습득 이론: 제 2 언어 습득 이론 (1) | 2023.10.09 |
댓글